[독해가 쉬워지는 시사 용어] 17 팬데믹, 엔데믹
『이반 일리치 강의 - 팬데믹 이후의 학교와 병원을 생각한다』 | 이희경 지음 | 북튜브 출판 | 북트레일러
[AI 콜로퀴움] 미래 팬데믹 감염병 대응을 위한 팬데믹 사이언스와 AI (전영일 박사)
『팬데믹 시대에 읽는 동의보감 강의』 | 안도균 지음 | 북튜브 출판 | 북트레일러
[ExCampus 시즌6] 바이러스 팬데믹과 인류의 미래 |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배용수
팬데믹 속의 주일 1 - 강의 이윤석 목사
POTOMAC KOREAN FORUM 2월 영상강의 김영봉 목사 '팬데믹의 역설: 우리가 잃은 것과 얻은 것"
팬데믹 속에서 강의 중인 한국어 선생님의 논문 주제는? 비대면 수업? 매체 효능감? KHCU 대학원 글로벌한국학전공 졸업 논문 쓰기🎓📜✍
[#매일사설칼럼 102번] 팬데믹 1년, 온라인 강의 1년(하대청)
[변희영강사] 팬데믹 시대 우리의 대응전략
[팬데믹 시대를 넘는 지혜, 동의보감] 1강. 팬데믹시대에도 삶은 계속된다 : 음양과 순환 | 박장금
[페스트와 포스트 코로나] 2강. 어떤 팬데믹에서도 살아남을 인간형 | 오창희
[사색IN숲 1강1부] 팬데믹과 일상 #인문학#강연
성경으로 본 팬데믹(강의 김요셉목사) [포스트코로나 포럼]
팬데믹보다 더 큰 재앙이 10년 안에 온다
팬데믹 클러스터 강연 시리즈 2 “코로나 팬데믹 후의 세상은 어떻게 달라질 것이며,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?”
인공지능 콘텐츠 컨퍼런스 - 포스트 팬데믹과 인공지능 (김대식 카이스트 교수)
[팬데믹 시대를 넘는 지혜, 동의보감] 4강. 언택트 시대를 사는 법 : 위생vs양생 | 박장금
[5월6일 1교시강의]팬데믹으로 인하여 나중에 사용하게 될 것을 지금 사용하게 되어지게 앞당겨 지고 있는데 나만 모른다면 어떻게 될까요?
[기조강연] 위기를 기회로: 코로나 팬데믹이 어떻게 학교 현장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켰는가